본문 바로가기

페이스북

우희종교수

신자유주의와 해외 유학생에 의존하던 미국대학이 겪을 상황은 예상되어 온 바죠. 더욱이 과학에서의 지적재산권도 사회 자산으로 공유하자는 Copy-left 운동도 있는 상황에서 굳이 대학 강의를 수천만원 내고 듣게 하는 것도 개선 여지가 있습니다.

공공 대학 강사단을 세금으로 구성한 후, 모든 강의를 온라인으로 개방하고 기존의 고비용 및 중복되는 대학체제는 해체할 것을 제안합니다. 전공에 따라서는 실습에 필요한 공간과 인력을 국가 공공재로서 각 시도마다 설립해 놓으면 되고요. 각종 면허도 지역제로 운영해 수도권 집중을 피할 수 있고, 굳이 지역 발전을 위한 행정력 소모도 줄어듭니다.

이런 대학 체제일 때 오히려 비인기 내지 소수 전공 과목도 공공성 차원에서 국가가 지원 유지도 가능하기에 향후 30년 내에 기존 대학체제는 온라인 기반으로 보다 개방형이 될 것임을 확신합니다. 학과 폐지를 넘어 기존 대학 폐지를

 

 

위기의 美 대학... 무제한 예산 삭감에 학과 폐지까지

 

강유빈 기자

 

2020.10.28. 08:00

막나가는 ‘펜트하우스’, 이렇게 시청률 10% 넘으면 행복할까

“중국 가상화폐 대박난다더니…177억 꿀꺽” 가상화폐 판매업자 등 기소

신입생 등록 전년 대비 16% 줄고

교내 감염 예방·추적 비용은 급증

"학문 다양성 해치고 양극화 심화"

© 제공: 한국일보

미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전혀 잡히지 않으면서 막대한 재정 적자를 떠안게 된 대학들이 허리띠를 극한으로 졸라매고 있다. 교직원 해고와 임금 삭감으로도 모자라 주요 학과까지 무더기로 통폐합하고 있다. 학문 다양성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극약 처방에도 탈출구가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는 게 문제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26일(현지시간)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재정 적자를 감당하지 못해 대학들이 마구잡이로 예산을 깎는 현실을 집중 조명했다. 최근의 트렌드는 '학과 없애기'다. 오하이오주(州) 웨슬리언대는 18개 학과를 폐지했고, 캘리포니아주 버클리대는 인류학, 사회학, 미술사학 박사과정 신입생 모집을 중단하기로 했다. 봄부터 이어진 대규모 감원과 휴직 조치도 규모가 훨씬 커졌다. 로버트 켈첸 시튼홀대 교수는 “한 세대를 통틀어 이런 재정위기는 본 적이 없다”고 혀를 내둘렀다.

감염병 확산은 안그래도 학생 감소와 정부 지원 축소로 어려움을 겪던 대학을 더욱 벼랑 끝으로 내몰았다. 미 교육위원회는 코로나19 사태로 올해 대학들의 손실이 1,200억달러(135조2,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막대한 기부금을 보유한 ‘부자 대학’들도 바이러스의 충격을 비껴가지 못했다. 지난해 3억달러 흑자를 낸 하버드대마저 올해 1,000만달러 적자 전환을 앞두고 있다고 NYT는 설명했다.

당장 눈에 띄는 피해는 등록금 수입 감소다. 신문은 봉쇄ㆍ거리두기 정책 여파로 실업대란이 닥치자 학생과 학부모들이 온라인 화상 강의에 천문학적인 등록금 내기를 주저하게 됐다고 분석했다. 대신 대학 입학을 미루고 진로 탐색 기간인 ‘갭이어(Gap year)’를 가지거나 집에서 가깝고 등록금이 저렴한 학교를 찾아 나서는 학생이 느는 추세다. 실제 전국학생정보처리연구센터(NSCRC) 조사 결과 올해 미 대학의 신입생 등록은 지난해 대비 1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남은 학생들을 보호하고 관리하는 일도 대학 측엔 부담이다. 교내 코로나19 집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검사와 확진자 추적, 격리 등에 추가 재원을 쏟아 부어야 하는 처지에 놓인 것이다. 신문은 “올해 미국 내 대학 캠퍼스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환자는 총 21만4,000명으로 사망자도 75명이나 나와 경계를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수익 사업인 각종 스포츠 행사 취소와 기숙사비 수입 감소 등도 적자를 심화시킨 요인으로 꼽힌다.

자구책 마련이 절실한 대학의 고충을 모르진 않지만 예산 삭감의 칼날이 사회과학ㆍ인문학 프로그램에 집중된 점은 상당히 걱정스럽다. 가뜩이나 기업이나 외부 재단, 연방정부 차원의 지원이 적은 이들 학문을 더욱 옥죄면 다양성이 파괴되고 학생들 배움의 폭도 좁아질 수밖에 없어서다. 장학금 등 지원 축소가 저소득층 학생의 진학을 좌절시켜 ‘교육 양극화’를 부추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수잔 오르테가 미 대학원위원회(CGS) 대표는 “대학이 저소득층 학생 지원에 아예 손을 놓으면 또 다른 ‘잃어버린 세대’를 낳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페이스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인수변호사  (0) 2020.10.29
엄경천변호사  (0) 2020.10.28
박지훈  (0) 2020.10.28
Edward Lee  (0) 2020.10.28
hyewon jin  (0) 2020.10.28
박영훈  (0) 2020.10.28
[사설] “공수처법 위헌” 주장하는데 추천위원 맡기다니  (0) 2020.10.28
조국교수  (0) 2020.10.28
김남국  (0) 2020.10.28
박지훈  (0) 2020.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