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감 @morsejo: 교활한 자는 대중의 판단에 자신의 어리석음을 정당화 한다.진정성은 무리가 아니라 본질을 정확히 아는 소수에 있다.
-
당신은 상상력을 위해 가지고 있는 것의 절반쯤을 과감하게 버릴 필요도 있다. 상상력을 위해서 며칠 동안 세수를 하지 않고 수염을 깎지 않은들 어떠리. 체 게바라가 말했다.“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Retweeted bymorsejo
-
http://t.co/vMZ4epOF [Tistory]그리운 사람아!: 너, 그리운 사람아... 어머님의 품처럼, 나는 너에게 갇혀 있다. 말하지 않아도, 모든것의 나를 품었다. 살면서 난 너를 품는다. 아.. #yozm
-
타인에게 속지 않으려면 본질을 알아야 합니다.: 타인을 속이는 사람은 그대보다 한발 앞서 있는 사람 입니다. 대부분이 본질을 파악하지 못하여 끌려 다니는것 입니다. 인생도 참된 본질을 .. http://t.co/sSzo9P5w
-
RT @opykr: 강남구청 공무원들이 라마다서울 호텔에서 성접대 받다가 경찰의 불법성매매 단속에 걸렸습니다. 강남구청과 경찰 모두 이 사실을 숨기다 언론의 확인요청에 결국 드러났습니다 http://t.co/ARKX80JD (허재현)Retweeted bymorsejo
-
요즘 초등생들 즐겨쓰는 욕설 무엇인가 하니 http://t.co/2SrJPVvkRetweeted bymorsejo
-
http://t.co/RjGBXpnc
에콰도르가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을 폐기한 이야기Retweeted bymorsejo -
[진실의길] ‘선거법 위반’ 안철수재단 VS 정수장학회 http://t.co/TkDrhKvQ .. ‘장물’ - ‘성공사례’로 비교자체가 부적절... 안철수 대선불출마 압력용인 듯Retweeted bymorsejo
-
내일은 67번째 광복절이지만 일제피해자들은 보상도 받지못하고 고통받고있다. 내일 대통령경축사에는 정권홍보성 정책제안이 아니고 피해자들의 눈물을 닦아주는 대책들이 반드시 포함돼야한다.
국회에는 강제동원피해자 대책특위가 구성돼야한다.새누리당 협조가필요하다Retweeted bymorsejo -
여러명 죽이는구나 MB."@ilpyungdad: 광화문 뒤덮은 연기 ‘MB 임기내 완공’이 불씨? http://t.co/iJoVa5we 유독가스 질식 4명 사망. “기간 앞당기려 돌관공사. 현장선 다 아는 이야기”"Retweeted bymorsejo
-
기독교 광신도 소망교회 장로 이명박! 2000만 불자앞에 무릎꿇고 참회하라! http://t.co/XtkxBFZmRetweeted bymorsejo
-
현병철 임명강행. 이길영 KBS 이사장 임명강행과 같은 의미. MB정권과 새누리당이 얼마나 집요하고 후안무치한지 증명. http://t.co/M8IGMh3sRetweeted bymorsejo
-
<공천헌금 수사 성패, 전달자 조기문씨 입에 달려> http://t.co/LDiUBtal 이번참에 다 뿌리 뽑자. 친박이던 친이든 민주당이든 검찰은 국민의 편에서 한치의 망설임없이 칼을휘둘러라Retweeted bymorsejo
-
문화재청, 독도 동도의 천장굴 급경사 지역 위쪽 끝 부분에서 자라고 있는 독도 사철나무가 강한 해풍과 열악한 토양조건을 이겨내 상징적 가치가 크다며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Retweeted bymorsejo
-
"한국인들은 스포츠를 좋아하는 게 아니라 메달을 좋아한다... 우리의 ‘금메달병’은 이제 고쳐야 한다." [경향시평]‘악’으로 이룬 스포츠코리아 http://t.co/awKc5NlaRetweeted bymorsejo
-
선관위 왈, 안철수 재단 이름 바꿔라. 선거 때 안철수를 연상시킬 수 있는 이름이다 그건데... 전혀 근거없는 말은 아닌듯... ● 그러니 이참에 전국에 있는 박정희 생가, 동상, 체육관, 뭐시기 뭐시기 다 철거하고 이름 바꾸자. 박근혜 연상된다.Retweeted bymorsejo
-
경복궁 옆 미술관 공사장 큰불… 4명 사망 24명 부상 http://t.co/yuJZYerp 이번 국립현대미술관 신축공사는 이명박정부의 밀어붙이기식 삽질정책으로 인한 인재입니다. 대한민국의 심장 수도 서울 한복판 경복궁 옆에서 이런 끔찍한 사고라뇨!Retweeted bymorsejo
-
@paulos5959 저는 신앙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성경에 말씀은 마음속에 살아 움직이고 있지요.
-
#cjcbooks 404) <닥터 지바고>, 노벨상 수상 작가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시집. 서해성 작가께서 시인으로서의 작가를 추천했습니다. 그래서 사서 읽어본 시집. <삶은 나의 누이>(지식을만드는지식) http://t.co/RNqLyGRPRetweeted bymorsejo
-
우리 인생에서 참으로 소중한 것은
어떤 사회적인 지위나 신분, 소유물이 아니다.
우리들 자신이 누구인지를 아는 일이다.
ㅡ무소유의 삶과 침묵 중에서ㅡRetweeted bymorsejo -
티아라에게 영화 "메멘토"를 추천한다 http://t.co/47BSljQtRetweeted bymorsejo
-
초심 @morsejo: 높은 자리에 있을수록 처음에 자리를 잊어서는 않된다.스스로 자신을 채찍질하지 않으면 처음의 출발점을 잊는다.
-
경제민주화...기회의 균등, 사회적 약자 보호와 경쟁에서 패배한 자의 패자부활 보장...등 다양한 제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더 절실한 것은 시장원리를 보완할 새로운 거래질서다. 별다방,콩다방을 이겨낼 동네 다방커피의 승리를 만들 수 있어야한다.Retweeted bymorsejo
-
자신을 신뢰하지 못하면서 믿음을 말하는 것은, 망망대해에서 날아 오르려는 허덕임과 같은 것이다.Retweeted bymorsejo
-
@kumarajiva9 자신을 사랑하지 않으면 믿음은 생길수가 없지요.자신이 자신을 인정하는 것이 최고의 인정이 되지요.사랑하지 않기에 타인의 눈과 귀에 의존하는 것이지요.
-
현영희 남편 차명계좌서 한달간 매일 수백만원 빠져나가=2년 가까이 이어져온 현영희(61) 새누리당 의원과 조기문(48) 전 새누리당 부산시당 홍보위원장의 인연은 둘을 파국으로 이끌고 있다 http://t.co/a3qOmaTMRetweeted bymorsejo
-
<김현정의 뉴스쇼> 송호창, " 박사모라든지 육영재단, 박정희기념관 이런 데에 대해서도 선거법 위반 여부에 대한 판단을 같이 해 주는 것이 오히려 균형에 맞는 것이 아닌가 그런 생각입니다. " http://t.co/5ITxORHuRetweeted bymorsejo
-
안철수재단 기부도 이름도 선거법에 문제가 있단다. 선관위는 안철수가 연상된단다. 그럼 박근혜가 연상되는 정수장학회, 박정희-육영수 관련 기념관, 단체 등 모두 중단시켜야 한다. 박근혜 정수장학회가 지분 소유한 MBC, 부산일보도 지분 정리시켜야.Retweeted bymorsejo
-
RT @hohonim70: “현영희-조기문, 돈공천 보도 전후 집중 통화” http://t.co/OSu4mFMWRetweeted bymorsejo
-
국민의 뜻을 하나로 모으는 유일한 방법은 민주주의를 제대로 하는 것입니다. 민주주의 원리의 핵심은 상대주의와 관용입니다. 그리고 규칙을 존중하는 것입니다. 대화와 타협이 실패하더라도 규칙을지키고 그 결과에 승복하는 것입니다. - 故 노무현 -Retweeted bymorsejo
-
이건희,정몽구를 다시 가들 수는 없나요?ㅎㅎ==>문재인 "재벌총수 사면관행,대폭시정돼야" http://t.co/OrAFPBOw “출산후 직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육아시설을 제공하는 것은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복지,안철수 원장과의 경쟁에서 승리할 것!Retweeted bymorsejo
'TWI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 8월19일 Twitter 이야기 (0) | 2012.11.09 |
---|---|
2012년 8월18일 Twitter 이야기 (0) | 2012.11.09 |
2012년 8월17일 Twitter 이야기 (0) | 2012.11.09 |
2012년 8월16일 Twitter 이야기 (0) | 2012.11.09 |
2012년 8월15일 Twitter 이야기 (0) | 2012.11.09 |
2012년 8월13일 Twitter 이야기 (0) | 2012.11.09 |
2012년 8월12일 Twitter 이야기 (0) | 2012.11.09 |
2012년 8월11일 Twitter 이야기 (0) | 2012.11.09 |
2012년 8월10일 Twitter 이야기 (0) | 2012.11.09 |
2012년 8월9일 Twitter 이야기 (0) | 2012.11.09 |